반응형

전체 글 55

영화 돈 리뷰 – 돈이 곧 개연성이 될 수 있다는 착각 –

[#1 선택과 집중, 오락영화로서 알맞은 편집] 영화는 주식이라는 다루기 어려운 주제를 관객에게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단순하고 매우 평이한 플롯을 지향하고 있다. 어리버리한 증권 브로커 일현은, 부자가 되고 싶은 부푼 꿈을 안고 증권가에 들어왔지만 6개월 넘게 사고만 치는 사회초년생이다. 일현은 같은 사무실 유민준 과장의 소개로 일명 “번호표“를 만나게 되고, 그를 통해 부정적으로 막대한 수입을 벌어들이다 일련의 사건을 계기로 그를 배신하고 그가 잡히도록 금융감독원을 돕는다. 감독은 ‘돈’이라는 직설적이며 직관적인 영화 제목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지향점을 중심으로 직선으로 달려가는 인간 군상에 대한 영화를 완성하고자 했다. 평이하고 어디서 본 듯한 스토리라인은 관객이 좀 더 빨리 영화의 상황을 파..

포어풋 러닝 연습을 위한 신발 고르기 2 - 쿠션 -

https://leewordstore.tistory.com/36 포어풋 러닝 연습을 위한 신발 고르기 1 - 단차(Drop) - 포어풋 러닝은 매우 단순한 메커니즘이지만, 이미 힐스트라이크(리어풋)에 익숙해진 일반인들에게는 걸음마를 새로 배우는 것처럼 매우 신선하고 어려운 작업이다. 이번 글에서는 포어풋 연습 leewordstore.tistory.com 앞선 글에서는 신발 단차의 의미와 포어풋을 고려한 단차 디자인 트랜드 변화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블로그 내의 다른 글에서 필자는 포어풋 러닝 연습을 위해 맨발 달리기를 추천 한 바 있다. 포어풋 러닝은 넓은 토박스와 적은 단차를 통해 발의 내츄럴한 움직임을 보장한 상태에서, 몸의 탄성을 이용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앞으로 나아갈 추진력을 얻는다. 이 방식은..

운동/러닝 2021.08.04

Facebook은 소셜미디어의 첨단에서 그 너머를 보고 있다. - Economist 리뷰 -

https://www.economist.com/business/2021/07/27/facebook-eyes-a-future-beyond-social-media Facebook eyes a future beyond social media Advertising has made the social network into a trillion-dollar company. Can new ventures take it further? | Business www.economist.com #1 What does the news say Facebook은 두개의 얼굴을 가지고 있다. 하나는 소셜미디어의 부정적 측면이다. Facebook은 소셜미디어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다양한 가짜뉴스의 유통으로 인해 부정적인 인식을 쌓아..

[효성첨단소재] 1분기 사업보고서 분석 및 투자 시점에 대해

[#1 타이어보강재, 실로 오랜만에 맛보는 공급 강세 시장] 실로 오랜만에 Cash Cow가 풀을 마음껏 뜯을 수 있었다. 20년 4Q부터 급격히 정상화 된 타이어 부문의 수요 증가로 인해, Cash Cow 부문인 타이어보강재 부문의 영업이익률이 10.8%로, 전년 동기대비 +5.9% 크게 개선되었다. 효성첨단소재의 타이어보강재는 Hailide 등 중국 경쟁사의 중국/베트남 증설 물량이 풀리기 시작한 2019년 이후 지속적인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률의 감소를 경험하였다. 2019년 1Q 9%에 이르렀던 영업이익률은 분기를 거듭하면서 1% 단위로 하락하여, 5%의 평균 수익률을 보여왔다. OE/RE 타이어 부문이 연 2%대로 성숙화된 시장인데다가, 중국 경쟁사들의 베트남 지역 증설 이후 물량 소화를 위해 저가..

Puberty Blocker (2차성징 이연제)의 사용과 위험성 - Economist 리뷰 -

Gender medicine -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uberty blockers | Science & technology | The Economist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uberty blockers That has not stopped clinics prescribing them enthusiastically www.economist.com [#1 Puberty blocker can block other oppurtunities] 성적 자기결정권과 성별 불쾌감(Gender Dysphoria)의 문제가 화두가 된 이후, 미국에서는 많은 의학적 개념과 분야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그 중 하나의 병과가 소..

바이든의 이민 정책은 트럼프와 다른 방향을 제시한다 - Time 리뷰 -

Biden Proposes $4 Billion to Fix Root Causes of Migration | Time Biden's Immigration Bill Proposes $4 Billion to Address the Root Causes of Migration. It's a Start, Experts Say President Biden sent an immigration bill to Congress that includes fixing the root causes of migration, particularly from Central America. time.com [#1 Root out the root cause] 바이든이 그의 첫 업무일에 발의한 법안 중 하나는 새로운 이민법에 대한 내용이다..

신장(Xinjiang)의 상황을 단순히 "Genocide"로 명명해선 안된다. - Economist 리뷰 -

The persecution of the Uyghurs - “Genocide” is the wrong word for the horrors of Xinjiang | Leaders | The Economist “Genocide” is the wrong word for the horrors of Xinjiang To confront evil, the first step is to describe it accurately www.economist.com [#1 Definition could be matter] 민주주의와 독재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진실의 유통이라고 할 수 있다. 사건에 대해 민주주의는 진실을 드러내고, 독재는 진실을 감추고 거짓으로 대응한다. 이는 유기체가 가지는 유전자와도 같이, 정치..

승리호 - 주워야 할 것은 우주 쓰레기가 아닌 개연성이었다 -

[#1 K-가오갤, 명확한 컨셉] 뭘 찍고 싶었는지는 알겠다. K-가오겔 뭐 이런 컨셉이었겠지. 업동이 (유해진 분)가 말많은 그루트 포지션, 타이거 박(진선규 분)이 머리나쁘고 힘쓰는 더글라스 포지션, 태호(송중기 분)가 과거의 상처를 간직한 스타로트 포지션에, 마지막으로 장선장을 오리지널 포지션으로 추가하여 적당히 구성한 것 같다. 그러나 완성된 결과물은 너무도 참담했다. 케릭터는 단순했으나 설득력 또한 없었다. 영화는 모든 케릭터의 과거를 말하다가 쓸데없이 길어졌고, 루즈해졌다. 빌런의 개연성은 상실된 상황에서 영화는 무너진 갈등 관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로시를 중심으로 한 신파에 집중했다. 그리고 그 신파도 개연성이 없었다는 데서 눈물이 난다. 이 영화의 장단점은 너무나 명확하다. 그리고 이 ..

트럼프의 對 중국 경제 정책은 실패였다 - Economist 리뷰 -

더보기 Daily chart - New data show the failures of Donald Trump’s China trade strategy | Graphic detail | The Economist New data show the failures of Donald Trump’s China trade strategy American exports have fallen well short of targets in the deal’s first year www.economist.com [#1 Waht does the news says] 2018년도부터 시작한 트럼프의 중국 견제는 하나의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는 듯 보였다. 대중 무역수지 적자에 대한 지속적인 언급과 실제 실행되었던 철강 보복관세, 중..

로켓맨 - 까다로운 전설을 이해하는 가장 명석한 방법 - feat. 보헤미안 랩소디

[#1 엘튼 존에 대해 아시나요] 영화는 하나의 기회를 제공한다. 2020년을 살아가는 대다수의 젊은 한국인들에게 엘튼 존은 하나의 피상적 존재이다. 1970년대 전성기를 누렸던, 세계적으로 히트한 몇가지의 노래를 가지고 있는 영국의 가수. 좀 더 파편적인 기억을 더듬으면 아마 동성애적 성향을 가지고, 남자와 결혼을 했던 것 같은 가수 정도를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영화는 그의 노래와 삶을 소개한다. 영화는 아름다우면서도 파워풀한 그의 명곡을 선명한 화면과 음계로 다시 쌓아 올린다. 그가 경험했던 높고 낮은 삶의 궤적은 분명하게 그가 불렀던 노래에 스며들었다. 다시 재구성된 명곡은 그의 삶과 함께 빛나기 시작한다. 영화는 분명히 하나의 기회를 제공한다. 강렬하게 다가오는 그의 삶과 노래는 그를 하나의 ..

반응형